728x90

세모지 42

도라지 효능과 도라지 차 만들기

도라지 약용식물로 알려진 초롱꽃과 식물로 '길경'이라고도 하며 ‘영원한 사랑’의 꽃말을 가지고 있다. 다년생이며 줄기가 곧으며 1~1.5m까지 자라고 톱니 모양 잎이 3개 마주 보며 달렸다. 백도라지, 청도라지, 흑도라지 등의 품종은 꽃의 색깔로 나뉜다. 참고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꽃도라지는 리시안셔스라는 수입산 화초로 도라지와 전혀 무관한 식물이다. 효능 도라지는 동의보감에 거담배농이라고 하여 "가래를 없애고 고름을 뽑아내는 작용을 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도라지는목의 염증과 잔기침을 진정시키는 ‘용각산’의 주 성분이기도 하며, 도라지가 약의 원료를 사용되면 ‘길경’이라고 성분 표시한다. 도라지에는 당질과 칼슘, 철분, 사포닌, 섬유질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로 해소와 빈혈 ..

세모지 2022.10.22

보톡스(Botox)의 유래와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식중독, 보툴리눔 톡신, 그리고 보톡스 보톡스(Botox) 신경과 근육 질환 및 주름 제거 등에 사용하는 미국 제약회사 엘러간(Allergan Inc.)의 주사제 상표명으로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을 정제하여 만든다. '주름개선'으로 검색하면 보톡스 외에 ‘보툴리눔 톡신, 보툴리눔 OO’로 나오는 이유다. 보톡스는 상표명이 일반 명사화된 경우로 스카치테이프, 대일밴드 등과 같은 경우이다.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보톡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툴리늄 톡신(botulinum toxin)을 먼저 알아야 한다. 시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독일에서 자우마겐(saumagen)을 먹고 식중독에 걸린 사람에게서 기존의 식중독 증상과는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인 식중독 증상은 ..

세모지 2022.10.20

구연산의 용도와 부작용

구연산 구연산(枸櫞酸)은 레몬과 비슷하게 생긴 시트론(citron)의 한자명이며, 중국에서는 레몬산[檸檬酸, níngméngsuān; 영몽산]이라고 한다. 레몬이나 라임 등 귤 종류의 과일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유기산으로 무색무취이나 신맛이 강한 고체 결정이며 물과 알코올에 잘 녹고 신맛이 있어, 청량음료, 의약품의 첨가제로 쓰인다. 구연산은 식품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지만, 생화학 분야에서도 그 활용도가 높다. 구연산의 대량 생산 추출은 검은곰팡이를 자당이나 포도당으로 번식시키고 검은곰팡이로부터 생성된 시트르산을 정제하는 방식으로 생산한다. 구연산 용도 식품첨가제 빙과류, 음료 등의 맛과 향을 내거나 산도 조절을 통해 식품보존 용도로 사용하며 식품첨가물 표기는 구연산으로 한다. 아이스크림 유화제 아이스크..

세모지 2022.10.20

올리브 오일의 종류와 효능 및 보관 방법

올리브 어원 학명은 올레아 유로피아(olea europaea)로 분류되며, 올레아(olea)는 라틴어로 '오일(oil)', 즉 '기름'을 뜻한다. ‘올리브’는 이름 자체가 기름 함량이 높은 열매다. 올리브의 역사 인류와 함께하기 시작한 것은 약 5000~6000년 전부터로 추정되며, 지금의 시리아(Syria)와 팔레스타인(Palestine)이 위치한 곳에서 최초로 재배된 것으로 추정된다. 올리브는 기원전 700년대 고대 로마제국의 번성으로 한창 영토를 확장해 나갈 때 식민지 였던 지중해 유역으로 재배기술과 올리브 활용방법 등이 전파되었다고 한다. 이후로도 지중에 연안국들은 올리브 최대 생산 지역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의 생산량은 전세계 생산량의 약 75~80%에 달한다. 올리브유..

세모지 2022.10.19

'개판 오 분 전' 의 유래

정돈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심결에 내 뱉는 "개판 오 분 전"은 어디서 비롯된 말일까요..? 개판 오 분 전의 개판 개판 행동 따위가 사리에 어긋나 온당치 못하거나 무질서하고 난잡한 상황을 속되게 이르는 말. 유의어 : 난장판, 엉망, 엉망진창 예시 1) 도회지 남녀들이 해마다 쌍쌍으로 몰려와서 먹고 마시고 놀면서 소위 말하는 그 '개판'을 치니까 순진한 시골 아이들이 홀딱 빠지게 된 겁니다. [출처: 윤흥길, 묵시의 바다] 예시 2) 최고 위원은 “잔칫집에 손님을 불러 놓고 국민을 대표해야 할 국회가 국민의 눈으로 볼 때 지금 ‘개판 오 분 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게 참으로 부끄럽기 짝이 없다.”라고 말했다. [출처: 매일경제 2014년 9월] 개판 오 분 전 '개판 오 분 전'의 유래는 2가지 설..

세모지 2022.10.18

메리노 울(Merino wool) 양모의 종류와 울 세탁 방법

메리노 울(Merino wool) 메리노라는 품종의 양털로 자외선차단, 신축성, 회복력이 뛰어나 구김이 잘 가지 않고, 때가 잘 묻지 않는 옷감으로 아웃도어, 패션의류에 주로 사용된다. 울이 포함된 옷감은 고온에서 수축하는 성질이 있어 세탁 건조할 때 뜨거운 물이나, 열풍 건조시키면 엄마 옷이 예쁜 아기옷으로 바뀌는 마법을 보여 준다. 메리노 품종 원산지는 에스파냐이며, 에스파냐의 재래종과 아시아종 면양을 교잡시켜 개량한 품종이다. 메리노는 세계 양모 생산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종이다. 호주에서는 면양은 메리노 종이 80%를 차지한다. 메리노의 면 생산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마리 당 5~8kg, 많게는 14kg까지 생산한다. 메리노 양의 수명은 10~15년 이다. 메리..

세모지 2022.10.17

죽염의 역사와 제조 방법 그리고 효능

죽염은 치약, 비누, 조미료 등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접하지만, 역사와 제조과정은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아 알아 보았다. 죽염의 역사 조상들이 사용해 왔던 죽염의 제조방식은 기록으로 전해져 온 것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1300년 역사의 고찰인 개암사(전북 부안군 소재)에서 제조법이 비밀리에 소수의 스님들에게만 구전되었다고 한다. 현대에 들어서 개암사 주지 효산스님이 구전되어 오던 제조법을 수집·정리하여 전통 죽염제조법으로 정착시켰다. 효산 스님의 전통 죽염제조법은 부안의 '개암죽염'과 고창의 '삼보죽염'으로 이어지게 된다. 삼보죽염의 김인석 대표가 무형문화재 전수자로서 효산스님의 뜻을 이어받는다. 효산스님은 1999년 무형문화재 제23호 ‘죽염제조장’으로 인정받는다. 죽염의 대중화 죽염이 대중에게 알려..

세모지 2022.10.15

라면의 유래와 최초의 라면

들어가기 전에.. ◈ 라면도 유통기한이 있다. 기름에 튀겨진 라면은 오래되면 기름이 산화하여 맛이 변질된다. ◈ 라면의 맛을 더하는 첨가 재료는 라면 포장지 그림을 참고하면 된다. 포장지에 계란이 없다면 넣지 않는 것이 라면 맛을 살린다. ◈ 대부분의 액상스프는 정량보다 조금 더 들어 있다. 너무 알뜰하게 짜내지 않아도 된다. ◈ 면발이 꼬들꼬들한 식감을 내는 것은 덜 익었기 때문이다. 개인 취향 존중 라면의 어원 - '라면'의 어원은 중국의 '납면(拉麵)'에서 유래하며, ‘라몐’이라고 부른다. - 일본에서는 납면을 ’라쓰멘‘이라고 부르다가 라멘(ラーメン)'으로 줄여서 부른다. - 우리나라는 납면을 한자음 그대로 받아들였고, 발음이 순화되어 '라면'이라고 부른다. - 북한에서는 '꼬부랑국수', '즉석국수..

세모지 2022.10.13

냉장고 이야기 – 냉장고 유래와 냄새 제거방법

요즘 시대 냉장고 없이 생활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무더운 여름 시원한 맥주, 차가워진 수박,.. 생각만 해도 갈증이 해소되고 상쾌한 느낌이 든다. 추운 겨울 따뜻한 집 안에서 아이스크림을 떠먹는 쾌감은 또 어떤가. 조선시대 냉장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냉장시설 ‘서빙고’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추운 겨울 한강 얼음을 채취해서 석빙고에 보관했다. 얼음의 위세는 무더운 여름 임금께 진상하고, 공적을 세운 신하에게 하사품으로 내려줄 만큼 귀한 음식(?)으로 대접받았다. '벌빙지가(伐氷之家)'란 말이 있는데 ‘얼음을 채취하고 관리하는 가문’을 말하며 ‘세력이 높고 영향력 있는 가문’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냉장고 탄생 지금의 냉장고는 1834년 미국의 제이콥 퍼킨스가 ‘공기 냉동 압축기’..

세모지 2022.10.13

프로폴리스(propolis) - (꿀)벌이 주는 또 다른 선물

프로폴리스(propolis) (꿀)벌이 나무나 수액에서 수집한 물질과 벌의 타액선에서 나온 효소가 섞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벌통 내부에 발라서 벌통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천연항생 물질로 상처 및 염증 치료, 방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으로 가공·시판되고 있다. 프로폴리스의 성분은 식물의 종류 및 지역, 계절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네이버 국어사전] 프로폴리스 활용의 역사 ◈ 기원전 3,000년 이집트에서는 상처 및 염증 치료제에 프로폴리스를 사용했으며, 미라를 만들 때 방부제 용도로 사용하였다 ◈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 384∼322)'가 지은 ‘동물지(Historia Animalium, 動物誌)’에 프로폴리..

세모지 2022.10.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