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에..
◈ 라면도 유통기한이 있다. 기름에 튀겨진 라면은 오래되면 기름이 산화하여 맛이 변질된다.
◈ 라면의 맛을 더하는 첨가 재료는 라면 포장지 그림을 참고하면 된다. 포장지에 계란이 없다면 넣지 않는 것이 라면 맛을 살린다.
◈ 대부분의 액상스프는 정량보다 조금 더 들어 있다. 너무 알뜰하게 짜내지 않아도 된다.
◈ 면발이 꼬들꼬들한 식감을 내는 것은 덜 익었기 때문이다. 개인 취향 존중
라면의 어원
- '라면'의 어원은 중국의 '납면(拉麵)'에서 유래하며, ‘라몐’이라고 부른다.
- 일본에서는 납면을 ’라쓰멘‘이라고 부르다가 라멘(ラーメン)'으로 줄여서 부른다.
- 우리나라는 납면을 한자음 그대로 받아들였고, 발음이 순화되어 '라면'이라고 부른다.
- 북한에서는 '꼬부랑국수', '즉석국수', '속성국수'로 혼용하여 부른다.
- 우리나라의 라면은 인스턴트식품을 의미하며, 중국의 ‘납면(라몐)’, 일본의 ‘라멘’과 다르다.
※ 중국의 납면(拉麵,라몐)은 손으로 길게 잡아당겨 늘여서(拉) 국수(麵)로 만들어 내는 수타면이다.
우리나라 최초 라면
세계 최초의 인스턴스 라면은 1958년 일본의 닛신식품기업에서 닭뼈를 삶아서 육수 맛을 낸 ‘치킨라멘(チキンラㅡメン)’이다.
일본에 출장 중이던 전윤중 삼양식품 회장은 식량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라면으로 배고픔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일본의 ‘묘조(明星-명성) 식품’으로부터 제조법을 전수받아 1963년 삼양라면을 출시한다.
당시 일본 식품기업들의 라면제 조법은 일급 기밀이어서 누구에게도 알려주지 않았는데, 전 회장의 애국심과 배고픈 국민을 위하는 마음에 감동하여 흔쾌히 비법(?)을 전수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우리 입맛에 맞는 라면
일본에서 도입한 라면은 느끼하고 밍밍한 일본의 '라멘'과 같은 맛이었고, 범접하기 어려운 라면 가격으로 호응을 얻지 못했다.
우리 입맛에 맞는 라면을 만들기 위해 수많은 연구를 하였고 근접한 맛을 만들어 낸 끝에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시식하는 행사를 마련한다.
"맵짠에 고춧가루를 추가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받아들여져 점차 지금의 라면 맛으로 발전한다.
대통령이 라면 맛을 평가해야 할 정도로 1960년대 우리나라 식량문제는 국가적으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 하나였다.
라면 가격
라면이 출시될 때의 짜장면 가격은 20원, 시장에서 파는 서민들의 꿀꿀이 죽은 5원이었으며, 라면은 10원이었다.
언뜻 라면이 저렴해 보이겠지만, 짜장면은 졸업, 입학, 생일 등 아주 특별한 날에만 먹는 고급 음식이었고, 꿀꿀이 죽 한 그릇은 하루를 버텨야 하는 끼니였다. 시대적으로 한국전쟁이 끝나고 불과 10년밖에 안된, 대다수의 국민이 원조물자에 의지하던 최빈국임을 고려한다면 라면값 10원은 결코 저렴하지 않았다.
라면은 특별한 날 짜장면조차 먹기 힘들었던 서민들에게는 손님 대접할 때 먹는 귀한 음식이었다.
라면의 위상
1970년대부터 눈부신 산업발전과 함께 도시로 몰려든 가난한 노동자들이 고달픈 몸으로 간단하게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라면만 한 게 없었다. 반찬도 필요 없이 둘이서 라면 한 개 끓여 나눠먹고 남은 국물에 찬 밥이라도 말아먹으면 호사를 부린 것 같아 든든하다.
식품회사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라면 생산에 뛰어들어 가격 전쟁을 치르면서 라면은 서민들의 식량이 됨과 동시에 가난의 상징이 된다.
여자 육상선수가 라면만 먹고 운동했다거나(사실이 아님에도), 돈이 없어 라면만 먹고 산다는 말이 나올 지경에 이른다.
라면의 가치
라면은 세계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서민들의 대표 먹거리로 자리 잡았으며, 제2의 주요 식량으로 자리 잡았다.
농담처럼 하는 말이지만 쌀 떨어지면 라면 먹으면 된다는 말까지 나온다.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쌀보다 라면을 먼저 사재기한다.
입 맛이 없을 때 밥 대신 먹기도 하고, 이성을 유혹할 때도 먹는다. 라면 없는 세상은 상상할 수 조차 없다.
이제는 세계 각국의 생소한 라면들은 넘어야 할 도전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매운맛 라면은 세계 각지의 용감한 도전자들에게는 반드시 극복해야 할 대상이다.
우리나라의 라면은 최빈국의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한 식량에서 세계적인 명물이 되었다.
라면의 가치와 시대상을 반영해서라도 라면 값만은 오르지 않기를 바란다.
'세모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리노 울(Merino wool) 양모의 종류와 울 세탁 방법 (3) | 2022.10.17 |
---|---|
죽염의 역사와 제조 방법 그리고 효능 (3) | 2022.10.15 |
냉장고 이야기 – 냉장고 유래와 냄새 제거방법 (8) | 2022.10.13 |
프로폴리스(propolis) - (꿀)벌이 주는 또 다른 선물 (6) | 2022.10.13 |
단백질 종류와 장단점 (7)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