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보툴리눔 톡신, 그리고 보톡스
보톡스(Botox)
신경과 근육 질환 및 주름 제거 등에 사용하는 미국 제약회사 엘러간(Allergan Inc.)의 주사제 상표명으로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을 정제하여 만든다.
'주름개선'으로 검색하면 보톡스 외에 ‘보툴리눔 톡신, 보툴리눔 OO’로 나오는 이유다.
보톡스는 상표명이 일반 명사화된 경우로 스카치테이프, 대일밴드 등과 같은 경우이다.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보톡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툴리늄 톡신(botulinum toxin)을 먼저 알아야 한다.
시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독일에서 자우마겐(saumagen)을 먹고 식중독에 걸린 사람에게서 기존의 식중독 증상과는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인 식중독 증상은 복통, 설사, 구토를 하면서 진이 빠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 자우마겐 식중독 증상은 눈이 풀리고, 침을 흘리고, 몸이 마비가 되면서 축 늘어지는 것이 마치 맹독에 중독된 것과 유사하다.
※ 자우마겐(saumagen) : 돼지의 위장에 감자, 베이컨 등을 넣은 요리
아주 많은 시간이 흘러 이러한 식중독 증상이 ‘어떤 세균이 생산한 독소에 의한 것임’을 밝혀 내고, 이 세균의 이름을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linum) 균이라 명명한다.
보툴리눔(botlinum)은 라틴어의 소세지를 뜻하는 보툴루스(Botulus)에서 따왔다고 한다.
보툴리눔 톡신은 A, B, C1, C2, ~ H까지 9종류가 있으며, 미용 목적으로 독성이 가장 약한 A형을 사용한다.
H형은 가장 강한 독성을 가졌으며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이 만드는 가장 강한 독이다.
H형 보툴리눔 톡신 400g만 있으면 전 인류를 전멸시킬 수 있다고도 한다.
[참고] 독성 물질의 치사량
[출처: 나무위키]
- H형 보툴리눔 톡신의 반수 치사량 10~13ng(나노그램)/kg
- 청산가리 치사량 0.15g
- 테트로도 톡신(복어독) 300-500㎍(마이크로 그램)
- 폴로늄 치사량 10 ㎍(마이크로 그램)
생화학무기 개발
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미국은 생화학 무기 개발에 열을 올리면선코어ㅕㄿㅍ 보툴리눔의 독성을 이용한 요인 암살용 독침을 개발한다.
적국에 잠입한 비밀 요원들은 요인 암살 임무 수행 전에 독침이 잘 작용하는지 테스트하기 위해 마침 길거리를 배회하는 당나귀에게 독침을 놓는다.
그런데 이게 무슨일인가.
당나귀가 죽지 않는다.
요원들은 독침에 효과가 없다고 상부에 보고하고 암살작전은 취소된다.
핵폭탄의 위력을 확인하면서 2차 세계 대전은 끝이 나고, 보톨리눔을 무기로 개발하는 연구는 사그라든다.
나중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그 많은 동물 중에 유일하게 당나귀만 보툴리눔에 대한 내성이 있어서 죽지 않았다고 한다.
안과 치료제와 부작용
1970년대 안과 의사들은 보툴리눔 톡신이 근육을 이완시킨다는 것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독소를 희석하여 최소화하면 근육경직에서 오는 눈 떨림 증상이나 사시 교정에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발상의 전환을 하게 된다.
당시에는 사시교정이나 눈 떨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수술을 해야 했다.
안과의사들이 생각대로 보톨리눔을 정제한 주사는 효과가 있었으며, 보툴리눔은 안과 치료제로 발전된다.
그런데, 1980년대 캐나다에서 엄청난 부작용이 보고된다.
안과 치료를 위해 눈 주위에 보툴리눔 주사를 맞은 환자들의 미간 주름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보톡스 탄생
1991년 보톨리눔 주사를 맞으면 주름이 없어진다는 소문이 퍼지자 미국의 제약회사 엘러간(Allergan)이 보툴리눔 톡신에 관한 거의 모든 특허를 사들인다.
그리고 주름개선 치료제 보톡스 상표를 출시한다.
보톡스는 미국 내 주름개선 주사제 시장의 8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만약에 암살요원들이 당나귀가 아닌 개나 다른 동물을 대상으로 시험했다면 보톨리눔은 주름개선 치료제가 아니라 끔찍한 생화학무기가 되었을 것이며, 2차 세계대전은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어 더 끔찍하고 더 많은 인명피해가 있지 않았을까 상상해 본다.
핵폭탄도 투하하는데 생화학 무기쯤이야... 너무 쉽지 않은가..
우연치고는 너무 절묘하지만 당나귀한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세모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킹(알루미늄) 호일, 종이호일 유해성 및 안전하게 사용하기 (5) | 2022.10.23 |
---|---|
도라지 효능과 도라지 차 만들기 (2) | 2022.10.22 |
구연산의 용도와 부작용 (5) | 2022.10.20 |
올리브 오일의 종류와 효능 및 보관 방법 (4) | 2022.10.19 |
'개판 오 분 전' 의 유래 (4)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