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生薑)
순우리말은 ‘새앙’이며, 동남아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식용, 약용으로 사용되며, 특유의 알싸하고 매운맛은 진저론(Zingerone)과 진저롤(Gingerol), 쇼가올(Shogaol)이라는 캡사이신과 유사한 바닐린계 성분의 특성 때문이다.
맵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스코빌 수치는 진저롤이 6만, 쇼가올이 16만이라고 하니 왠만한 마늘과 고추는 저리 가라 할 정도다.
생강의 역사
중국에는 2500년 전부터 생강을 키웠다고 하며,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 때 전래되었다고 한다.
고려시대에는 생강이 매우 귀한 식물이어서 생강을 상으로 주었다고 하며, 인삼차는 일반 백성들이 마셨고, 생강차는 임금과 귀족들이 마셨다고 하니 그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간다.
좋은 생강 구매하기
▶ 단단하고 색이 진할 것(황토색)
▶ 고유의 향과 매운맛이 강할 것
▶ 알이 굵고 넓으며 껍질이 잘 벗겨질 것
▶ 한 덩어리에 여러 조각이 붙어 있을 것
▶ 모양이 울퉁불퉁할 것
※ 생강은 보관성이 좋지 않아 오래되거나 상태가 안좋은 것은 대체로 물렁하다.
생강의 효능
한약재로 말린 생강을 ‘건강’이라고 하며, 장을 따뜻하게 하고 염증을 억제한다고 한다.
생강은 감기에 좋으며, 소화력 증진, 혈액 순환 촉진, 면역력 증강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말린 생강은 입욕제로도 활용되는데 몸을 따뜻하게 하여 양기를 돋워주고, 근육통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생강의 부작용
▶ 생강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체온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체질적으로 열이 많거나 혈압이 높은 경우, 치질, 위궤양 등 출혈성 질환을 지니고 있는 경우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좋다.
▶ 생강차나 편생강 등 다과로 활용할 경우 매운맛을 중화시키기 위해 당류를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므로 당뇨를 앓고 있다면 피하는 것이 좋다.
▶ 생강은 위액 분비를 촉진하는 성질이 있어 한 번에 많은 양을 섭취할 경우 복통이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생강의 쓰임새
▶ 우리나라는 생강을 각종 음식의 맛과 향을 돋우는 조미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육류,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몸의 양기를 복돋우는 한약재로, 추운 겨울 몸을 따뜻하게 하는 차로 많이 애용하고 있다.
▶ 유럽에서는 생강을 과자에 넣은 진저브레드, 탄산수와 함께 섞은 진저에일을 만들어 먹는다.
이외에 설탕에 절여서 먹기도 하며, 생강에 젤리와 당류를 혼합한 진저츄(Ginger chews)를 만들어 먹는다.
▶ 일본에서는 마늘대신 생강을 양념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생강 초절임(베니쇼가, 가리)나 생강을 얇게 썰어서 설탕에 절여 말린 편강 등을 많이 먹는다.
생강차 만들기
▶ 준비물 : 생강, 꿀, 말린 대추(선택)
▶ 껍질을 벗진 생강을 잘 씻어 채반에 물기를 빼고 얇게 썰어준다.
▶ 말린 대추도 씨를 빼고 얇게 채 썬다.
▶ 유리병에 얇게 썬 생강과 채 썬 대추를 넣은 다음 생강이 잠길 정도로 꿀을 부어 준다.
▶ 상온에서 하루 정도 숙성시킨 후 냉장고에 보관한다.
▶ 아침, 저녁으로 뜨거운 물에 적당량을 타서 마신다.
'세모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박의 종류와 효능, 호박 고르는 법 (3) | 2022.11.11 |
---|---|
필기용(만년필, 딥펜) 잉크(안료잉크, 염료잉크)의 차이와 보관법, 주의사항 (3) | 2022.11.06 |
간식이 고플 때 먹는 마시멜로(우)(Marshmallow) (1) | 2022.11.05 |
치즈의 종류와 효능, 부작용 (9) | 2022.11.03 |
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 귤의 상식과 효능 (6) | 2022.10.28 |